역대 최장ㆍ최악의 폭염을 잠재울 폭우 및 강풍을 동반 강력한 규모의 태풍 '솔릭(SOULIK)'
철저한 대비를 통해 생각보다 피해 없이 태풍의 영향권으로부터 벗어난 맑고 상쾌한 하늘, 멀지 않고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곳으로 옛 금관가야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경남 김해, 국립김해박물관 내 어린이박물관(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 055-320-6827)을 찾았다.
![](https://static.coupangcdn.com/image/affiliate/category/20180610/coupang1108-640-x-100.jpg)
[국립김해박물관 내 어린이박물관 이용안내]
- 이용시간 : 평일 10:00 ~ 18:00 / 주말ㆍ公休日 10:00 ~ 19:00
* 일 총 7회차 운영 : 매 정시부터 ~ 50분 운영(점심시간 12:00 ~ 13:00), 10분 정리정돈
* 우선 사전 인터넷 예약제 운영(관람인원 회차별 50명 제한, 보호자 포함 인원) : http://gimhae.museum.go.kr/html/child
- 관람료 및 주차 : 무료
넓고 한산한 무료 주차장, 박물관 정문 옆의 '가야누리' 건물 1층
철저한 대비를 통해 생각보다 피해 없이 태풍의 영향권으로부터 벗어난 맑고 상쾌한 하늘, 멀지 않고 부담 없이 찾을 수 있는 곳으로 옛 금관가야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간직한 경남 김해, 국립김해박물관 내 어린이박물관(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 055-320-6827)을 찾았다.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춘 고대 가야의 역사ㆍ문화, 관련 전시물 및 가야인의 생활상을 놀이를 통해 인식하는 공간으로 인기 많은 곳이다.
![](https://static.coupangcdn.com/image/affiliate/category/20180610/coupang1108-640-x-100.jpg)
[국립김해박물관 내 어린이박물관 이용안내]
- 이용시간 : 평일 10:00 ~ 18:00 / 주말ㆍ公休日 10:00 ~ 19:00
* 일 총 7회차 운영 : 매 정시부터 ~ 50분 운영(점심시간 12:00 ~ 13:00), 10분 정리정돈
* 매주 월요일, 신정 및 설날ㆍ추석 당일 休館 / 4월 ~ 10월 중 매주 토요일 10:00 ~ 21:00 운영
* 우선 사전 인터넷 예약제 운영(관람인원 회차별 50명 제한, 보호자 포함 인원) : http://gimhae.museum.go.kr/html/child
- 관람료 및 주차 : 무료
넓고 한산한 무료 주차장, 박물관 정문 옆의 '가야누리' 건물 1층
평일 별도의 인터넷 예약 없이 현장접수, 안내 Desk에서 간단한 인적사항 작성 후 이용가능하다.
먼저, 가야마을 여행의 시작, 「삼국유사」 가락국가 들려주는 이야기, 가야의 첫 왕 수로를 영상을 통해 만날 수 있는 공간
옛 가야전사의 복원, 가양전사의 복장을 착용하고 기마병으로 변신, '나도 가야 전사', 말 조형물에 관심 많은 둘째 상준
가양건국의 설화의 황금 알의 의미하는 조형물 & 쉼터
가양인의 농경생활 및 발달한 철기 문화 등 가야인의 생활상, 집모양 토기 만들기, 놀이ㆍQuiz를 통한 가야여행, Puzzle 맞추기, 요리조리 '브릭 놀이', 가마 속 내부에서 가야토기 관찰, 화로모양 토기 만들기 등
지급받은 활동지에 직접 가야유물 무늬 탁본 만들기, 색칠놀이를 통한 유물 관찰
첫째 정빈 & 둘째 상준이의 최고의 장소, '가야의 집 : 따뜻한 보금자리와 맛있는 음식' : 당시 가야인들의 식생활
'알에서 태어난 수로왕' 등 각종 공연이 펼쳐지는 어린이 인형극장 및 작은 어린이 도서관
다음으로 '활쏘는 장군 Character 만들기' 영상체험실을 찾았다.
지급받은 활동지 속의 활쏘는 장군을 원하는 색상을 색칠하고 직원의 도움으로 화면 속에 만든 장군이 등장, 함께 공을 들고 적군을 물치는 활동
가야누리 건물 3층 기획전시실 및 열린전시실을 찾았다. 대표적인 가야유물 국보 제 275호 '말탄사람 모양뿔잔'
살랑살랑 불어오는 바람을 맞으면서 뛰어놀 수 있는 넓은 민속놀이 마당 : 사방치기, 제기차기, 팽이치기, 굴렁쇠 등의 민속놀이
고즈넉한 국립김해박물관을 배경으로 정빈 & 상준이와 사진촬영을 하고 돌아왔다.